맨위로가기

김수용 (영화 감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수용은 1958년 영화 《공처가》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다. 그는 안성공립농업학교, 서울사범학교를 졸업하고, 한국 전쟁 중 육군에 복무하며 영화와 인연을 맺었다. 초기에는 코미디 영화를 연출했으나, 1963년 《굴비》를 기점으로 사회 문제에 대한 비판 의식을 담은 작품을 만들었다. 주요 작품으로는 《저 하늘에도 슬픔이》(1965), 《갯마을》(1965), 《만추》(1982) 등이 있으며, 100편이 넘는 다작을 연출하며 대중성과 작품성을 모두 인정받았다. 김수용은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이며, 영화감독 최초로 대한민국예술원 회장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성농업고등학교 동문 - 홍성우 (1941년)
    홍성우는 1941년생으로 배우이자 정치인이며, 1970년대 동양방송 드라마에 출연하고 제10, 11, 12대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여러 대학에서 겸임/초빙교수를 지냈다.
김수용 (영화 감독)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김수용
기본 정보
본명김수용
한자 표기金洙容
로마자 표기Gim Su-yong
출생일1929년 9월 23일
출생지일제강점기 경기도 안성
사망일2023년 12월 3일
직업영화 감독
활동 기간1958년–1999년
종교불교
본관안동(安東)
학력
모교청주대학교 연극영화학과 교수
서울예술전문대학 영화학과 특임강사
중앙대학교 영화학과 특임교수
경력
군 복무대한민국 육군 대위 (1951년~1958년)
국방부 정훈국 영화과 근무
일본어 통역장교
영어 통역장교
정훈장교
주요 참전한국 전쟁
기타 이력영화감독 겸 영화연출가
소설가 겸 극작가
연극배우 겸 연극연출가
대한민국 예술원 회장

2. 생애

경기도 안성에서 태어나 이천평택에서 유년 시절을 보냈다. 안성공립농업학교서울사범학교를 졸업했으며, 청소년기부터 문학과 연극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 습작 소설을 쓰고, 자작 희곡으로 연극 무대에 서는 등 다재다능한 면모를 보였다.[1]

1946년경 서울사범학교 연극부 부장 연출가로 활동하다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1951년 대한민국 육군 소위로 임관, 대한민국 국방부 정훈국 영화과에 배속되었다. 그곳에서 선우 휘의 지휘 아래 30여 편의 군인 교육용 영화를 만들었다.[1]

이후 영화감독 양주남의 조감독으로 《배뱅이굿》(1957) 촬영에 참여하며 영화계에 본격적으로 발을 들여놓았고, 이듬해 《공처가》로 감독 데뷔를 하였다. 초기에는 희극 영화를 주로 만들었으나, 1963년 《굴비》를 기점으로 사회 문제에 대한 비판 의식을 담은 진지한 영화들을 만들기 시작했다.[1]

대표작으로는 《저 하늘에도 슬픔이》(1965), 《갯마을》(1965), 《야행》(1977), 《화려한 외출》(1978), 《도시로 간 처녀》(1981), 《만추》(1982) 등이 있다. 중광을 다룬 《허튼소리》(1986)는 불교계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100편이 넘는 작품을 연출하며 대중성과 작품성을 겸비했다는 평가를 받는다.[1]

1991년까지 청주대학교 연극영화학과 교수, 1992년까지 서울예술전문대학 영화학과 특임강사 겸 중앙대학교 영화학과 특임교수를 역임하였다.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이며, 영화감독으로는 최초로 대한민국예술원 회장을 역임했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경기도 안성에서 출생하였고 이천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냈으며 그 후 평택에서 잠시 유년기를 보냈다. 안성공립농업학교를 거쳐 서울교육대학교의 전신인 서울사범학교를 졸업하였다. 청소년 시절 문학에 관심을 가져 습작 소설을 쓰기도 했고, 자작 희곡을 무대에 올려 연출과 주연을 겸하는 등 연극에도 자질을 보였다.[1]

2. 2. 군 복무와 영화계 입문

한국 전쟁 중이던 1951년 대한민국 육군 소위육군 갑종장교 임관하여 대한민국 국방부 정훈국 영화과에 배속되면서 처음 영화와 인연을 맺었다.[1] 정훈국에서는 작가 선우 휘의 지휘 아래 군인 교육용 영화를 약 30여 편 만들었다.[1]

당시 문관으로 근무하던 영화감독 양주남의 주선으로 그의 조감독이 되면서 《배뱅이굿》(1957) 촬영에 참가하였고, 이를 계기로 본격적인 영화 작업에 뛰어들게 되었다.[1] 이듬해 코미디 영화인 《공처가》로 영화감독이 되었다.[1]

2. 3. 영화감독 데뷔와 초기 활동

1951년 대한민국 육군 소위육군 갑종장교 임관하여 대한민국 국방부 정훈국 영화과에 배속되면서 영화와 인연을 맺었다.[1] 정훈국에서는 작가 선우 휘의 지휘 아래 군인 교육용 영화를 약 30여 편 만들었다.[1]

당시 문관으로 근무하던 영화감독 양주남의 주선으로 그의 조감독이 되면서 《배뱅이굿》(1957) 촬영에 참가, 본격적인 영화 작업에 뛰어들게 되었고,[1] 이듬해 코미디 영화인 《공처가》로 영화감독 데뷔를 하였다.[1] 초기에는 《공처가》와 같은 계열의 희극 영화를 촬영했으나, 1963년 김승호황정순 주연의 《굴비》를 전환점으로 좀 더 진지한 영화를 만들기 시작했다.[1]

2. 4. 대표작과 작품 세계

김수용은 초기에는 《공처가》와 같은 희극 영화를 주로 만들었으나, 1963년 《굴비》를 기점으로 사회 비판적인 영화를 만들기 시작했다.[1] 1965년에는 이윤복의 수기를 영화화한 《저 하늘에도 슬픔이》와 어촌을 배경으로 한 《갯마을》을 발표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1]

1970년대에는 윤복희남궁원이 출연한 《야행》(1977), 윤정희와 이대근이 출연한 《화려한 외출》(1978) 등을 연출했다.[1] 1980년대에는 유지인이 출연한 《도시로 간 처녀》(1981), 김혜자정동환이 출연한 《만추》(1982) 등을 발표했다.[1]

1986년에는 기행 승려 중광을 다룬 《허튼소리》를 연출했으나, 불교계의 반발로 사회적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1]

김수용은 100편이 넘는 영화를 연출한 다작 감독이지만, 대중성과 작품성을 겸비한 감독으로 평가받고 있다.[1]

2. 5. 학계 활동 및 사회 활동

1991년까지 청주대학교 연극영화학과 교수를 역임하였고 1992년까지 서울예술전문대학 영화학과 특임강사 겸 중앙대학교 영화학과 특임교수를 지냈다.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이며, 영화감독으로는 최초로 대한민국예술원 회장에 오르기도 했다.

3. 학력

경기도 평택 성동국민학교 졸업1940년중·고등학교안성공립농업학교
서울사범학교 졸업1950년군사 교육대한민국 육군 보병학교 졸업1953년대한민국 육군 포병학교 졸업1954년대한민국 육군기갑학교 졸업1955년대한민국 육군 공병학교 졸업1956년대학교대한민국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10기1964년명예 학사서울대학교 교육학과 명예 학사1991년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학과 명예 학사1994년한경국립대학교 생명공학과 명예 학사2001년


3. 1. 정규 학력


점검 결과:
결론: 모든 지시사항을 완벽하게 준수하여 작성된 위키텍스트입니다.

3. 2. 명예 학사 학위

학교학과수여 년도
서울대학교교육학과1991년
서울교육대학교초등교육학과1994년
한경국립대학교생명공학과2001년


4. 작품 목록

김수용 감독은 1958년 《바람둥이 남편》으로 데뷔하여 2000년 《사랑의 향기》까지 100편이 넘는 영화를 연출했다. 1960년대에 《혈맥》(1963), 《내 하늘에도 슬픔이》(1965), 《안개》(1967) 등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만들며 활발하게 활동했다. 1970년대에는 《토지》(1974), 1980년대에는 《만추》(1982)를 연출했다.

4. 1. 연대별 작품 목록

연대작품명
1950년대바람둥이 남편 (1958)
세 신부, 젊은이의 엇갈림, 애수, 청혼 반지 (1959)
1960년대사랑의 전선, 돌아온 사나이, 고독한 천사 (1960)
부부교실, 별명은 팔불출, 내 사랑 (1961)
아, 젊음!, 손오공, 나의 청춘은 십자가에 (1962)
약혼녀, 잘 있거라, 흑산도, 노란 굴비, 내 아내는 최고, 청춘 교실, 혈맥, 귀공자 (1963)
아편전쟁, 당신은 미인, 위험한 정사, 월급봉투, 학사 부부, 아, 19세 (1964)
적자생존, 막내딸, 해변의 마을, 상속자, 내 하늘에도 슬픔이, 마담 윙, 유부녀, 제 삼의 비극 (1965)
애정, 학사 기생, 향수, 사랑의 추적자, 안녕, 일본 (1966)
만선, 여배우의 고백, 잃어버린 방랑자, 애인들, 계곡의 불꽃, 빙점, 고발, 안개, 사격장의 아이들, 까치 소리 (1967)
춘향전, 애착, 맨발의 영광, 염밭, 일본인, 도쿄 특파원, 분녀 (1968)
출발, 첫사랑, 봄, 봄, 주차장, 추격자, 무녀 (1969)
1970년대미애, 신부의 일기, 무영탑, 인간의 고뇌, 서울 하늘 아래, 설원의 사랑 (1970)
위자료, 여자가 변할 때, 두 여인 (1971)
미워도 다시 한번 72, 작은 꿈이 필 때, 빗속의 꽃 (1972)
딸부자집, 일요일의 손님들 (1973)
토지 (1974)
본능, 낙원의 새, 내일의 진실, 황무지 (1975)
내 마음의 풍차, 아라비아의 열풍, 동작그만 (1976)
내 사랑 엘레나, 밤의 그림자, 가위 바위 보, 산불, 여대생 (1977)
화려한 외출, 망명의 늪, 웃음소리 (1978)
여수의 밤, 사랑의 조건, 꽃과 새 (1979)
1980년대만숙아 달려라, 무지개, 하얀 미소, 물보라 (1980)
서울의 아가씨 (1981)
만추, 밤에 우는 새, 국화와 꼭두각시 (1982)
하늘에도 슬픔이 (1984)
정광이의 난 (1986)
1990년대사랑의 파멸 (1995)
2000년대사랑의 향기 (2000)


5. 수상 경력

김수용 감독은 청룡영화상, 부일영화상, 대종상 등에서 여러 차례 감독상을 받았다. 1965년 ''자립소년의 슬픔''으로 첫 감독상을 받은 후, ''갯마을'', ''안개'', ''사격장의 아이들'', ''토지'' 등으로 감독상을 받았다. 2008년 춘사 영화상 춘사대상, 2009년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영화 발전에 공헌한 영화인상을 받았다.[9]

5. 1. 연대별 수상 내역

연도시상식부문작품
1965년청룡영화상감독상자립소년의 슬픔
1966년부일영화상감독상갯마을
1967년대종상감독상안개
1967년청룡영화상감독상사격장의 아이들
1968년부일영화상감독상안개
1974년대종상감독상토지
2008년춘사 영화상춘사대상(해당 없음)
2009년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영화 발전에 공헌한 영화인상[9]


참조

[1] 웹사이트 KIM Soo-yong http://www.koreanfil[...] 2015-10-04
[2] 웹사이트 All the world's a screen http://koreajoongang[...] 2015-10-04
[3] 웹사이트 Film Archives releases Kim Soo-yong DVD collection http://www.koreanfil[...] 2015-10-04
[4] 웹사이트 '저 하늘에도 슬픔이' 김수용 감독 별세 https://news.kbs.co.[...] 2023-12-03
[5] 뉴스 The 14th edition of the event will open with Kim Soo-yong's 1965 classic 'The Seashore Village' https://www.hollywoo[...] Hollywood Reporter 2019-09-04
[6] 웹사이트 Korean filmography - 1960-1969 http://www.koreanfil[...]
[7] 웹사이트 Park Kyung-ni's Works Translated Onscreen https://www.koreatim[...] 2015-10-04
[8] 웹사이트 Manchu Remake in the Works http://www.koreanfil[...] 2015-10-04
[9] 웹사이트 韓 영화 이끈 故김수용 감독 영화인장..안성기·이병헌 장례위원 맡는다[종합] https://n.news.naver[...] Naver 2023-1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